본문 바로가기
Physical Threrapy story/물리치료 상식-근골격계편

발목을 삐끗하면 회복이 왜 잘 안될까? 발목 염좌시 회복안되는 이유? 또 다치는 이유는?

by 해라프 2010. 10. 1.
반응형

발목을 삐끗하면 회복이 왜 잘 안될까?

발목 염좌시 회복안되는 이유?

어느날 길을 가다가 발을 잘 못 디디어 삐끗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이러한 걸 전문적인 용어로 염좌라고 하는데 이는 인대의 손상을 말한다.

인대의 손상은 정도에 따라 등급을 가지고 있다.

쉽게 말하면 인대가 조금 늘어났는가? 늘어나고 부분적으로 찢어졌는가? 완전히 끊어 졌는가? 염좌니 파열이니 하는 말은 이러한 것에 따른것이다.

손상의 정도에 따라 가벼운 치료에서 깁스 또는 심하면 수술을 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인대를 한번 다치면 왜 잘 낫지 않을까? 왜 또 다칠까?

답은 이렇다. 인대의 생리학적구조상 조직의 손상을 회복시켜주는 세포의 수가 근육이나 다른 조직에 비해서 적다. 그래서 한번 손상된 인대는 100%회복되지 않으며 회복되는 속도또한 매우 느리다. 이로 인해 약해진 인대가 발목을 불완전하게 만들어 한번 다친 발목은 또 다치게 된다. 이러한 일이 반복되면 만성 염좌가 되는데 이때는 일상생활에서 매우 불편함을 느낀다.

자 그렇다면 인대가 잘 낫지도 100%로 회복되지도 않는다면 발목을 보호하기위한 최대한의 노력은 무엇이 필요할까?

치료를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보자

초기

① 발목 삐끗

② 발목(주로바깥부분 복숭아 뼈 밑)이 아프다.-약간다침

부었다.-중간정도손상

붓고 피멍이 보인다-심한정도손상

이럴때는 일단 하루정도 발목을 최대한 보호해줘야하고 쉬게 해줘야한다. 붕대나 발목보호대를 착용하고 수시로 얼음으로 마사지를 해준다.

중기

발목의 붓기가 조금씩 가라앉고 있을때 발목의 통증으로 인한 2차적인다른 신체부위의 통증발현을 예방하기 위해 물리치료나 약물치료를 받는다.

쉽게 말하면 발목이 아프면 이 발목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해 다른 부분(반대쪽 발목, 무릎, 허리등)을 과다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이 쌓이게 되면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후기

발목의 외형적인(붓기나 멍)이 거의 없어졌지만 발목의 미세한 통증이 남아있고 불안정한(흔들거리는)느낌이 있다.

발목의 위에서 언급한것처럼 100%회복은 거의 없다. 그러므로 추후 재발방지나 만성화의 방지를 위해 인대 주위의 근육들과 신경들의 강화 훈련이 필요하다. 물리치료실가서 꼭 물어봐라 어떠한 운동을 얼마나 어떻게 해야하는가에 대해서 ... 만약 물리치료사가 설명을 제대로 못해준다면
 다른 병원으로 가라!!!

이제껏 했던 말은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게 되도록 전문용어는 제외하였습니다. 잘모르는 부분은 꼭 물리치료사에게 물어보세요^^!

참고로 발목인대손상시 집에서 가볍게 할 수 있는 운동을 참고 합니다. (그림 김영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