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심성2 주동근, 길항근, 협력근 1. 주동근(agonist): 관절의 움직임에서 그 움직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근육 예를 들면 주관절 굴곡시 상완이두근의 구심성 수축 2. 길항근(antagonist): 관절의 움직임시 특정 주동근의 반대 작용을 갖는 근육이나 근육군 예를 들면 주관절 굴곡시 상완삼두근의 원심성 수축을 해야 굴곡의 속도를 조절 할 수가 있다. 3. 협력근(synergist): 특정 움직임이 완성되는 동안 서로 협력하는 한쌍의 근육이다. 예를 들어, 손목의 굴곡 동안 척측 수근굴근과 요측수근굴근은 서로 요측편위와 척측편위로 움직이려는 경향을 중화시키므로 올바른 손목의 굴곡이 나올 수 있다. 특정신경의 마비로 인한 근육의 마비는 이러한 움직임에 큰 영향을 주고 움직임 뿐만 아니라 정렬에도 큰 영향을 준다. 또 다른 예로.. 2010. 7. 8. 토크(torque) 회전축과 힘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를 모멘트팔이라고한다. 힘과 모멘트팔을 곱한 것이 토크 또는 모멘트이다. 힘은 물건을 선형의 방식으로 밀거나 당기는 반면, 토크는 물건을 회전축에 대해 회전시킨다. 내적인 토크=내적인 힘(근육)x내적인 모멘트팔 외적인 토크=외적인 힘(중력또는 무게)x외적인 모멘트팔 전완을 예로 든다면 내적인 토크>외적인 토크: 전완의 굴곡 또는 시계 반대 방향(구심성) 토크 2010. 7.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