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료와 예방

BMI 지수의 문제점과 한계

by 해라프 2023. 7. 21.
반응형

건강한 몸을 만드는

관심사 당신의# 몸무게와 건강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몸무게는 종종 비만도를 판단하는 주요한 지표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비만은 #심장병, #당뇨병, #고혈압 등 다양한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서 개인의 건강 및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오늘은 몸무게와 비만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더 건강한 삶을 추구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비만의 정의와 종류

비만은 체내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체중과 키의 비율을 통해 측정된 신체질량지수(BMI)를 통해 판단합니다. 성인에서 BMI 25 이상이면 과체중,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됩니다.

#BMI 계산법

BMI(신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는 체중과 키의 비율을 통해 체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지표입니다. BMI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BMI = 체중(kg) ÷ 키(m)² 예를 들어, 체중이 70kg이고 키가 1.75m인 사람의 BMI를 계산하면 BMI = 70 ÷ (1.75)² = 22.86 이 되며, 이 사람은 정상 체중 범위에 속합니다. BMI는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저체중 (BMI < 18.5)

정상 체중 (18.5 ≤ BMI < 25)

과체중 (25 ≤ BMI < 30)

비만 (BMI ≥ 30)

BMI는 비만도를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널리 사용되지만, 그 자체로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BMI의 주요 문제점과 한계입니다.

#근육과 #지방을 구분하지 못함

BMI는 체중과 키로 계산되기 때문에 지방과 근육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근육질의 사람이나 운동선수는 높은 BMI를 가질수록 지방이 더 많아질 수 있으며, 실제 비만이 아닌 경우가 있습니다.

나이와 성별을 고려하지 않음

BMI는 나이와 성별에 따른 체지방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체지방의 분포와 양이 달라지고, 남성과 여성 간에도 체지방 비율이 다른데, 이런 차이를 반영하지 않습니다.

체중 위치와 지방 분포에 관한 정보 부족

BMI는 신체 전체의 지방 양을 추정하는 도구이지만, 체중의 상대적 위치나 지방이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복부비만은 심혈관질환 및 대사질환과 같은 건강 위험 위험을 높이지만, BMI는 이러한 복부비만을 감지할 수 없습니다.

개개인의 체격 차이를 반영하지 못함

각 개인마다 뼈 구조, 근육량 및 체형인 지방 층의 두께 등 상이한 체격 차이를 가지므로, BMI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적용 준거점을 제공하지 못합니다.

아동과 청소년의 비만도 평가에 갖는 한계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성장기 동안 체격과 성장 속도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성인 기준의 BMI범위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제한 사항 때문에, 건강 위험도 평가 및 개인의 건강 상태 적극적 관리를 위해 BMI 외에도 영상 기술(예: DEXA 스캔), 스킨폴드 두께 측정, 웨이스트-힙 비율 등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MI 지수의 한계와 관련

된 논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Romero-Corral, A., Somers, V. K., Sierra-Johnson, J., Thomas, R. J., Collazo-Clavell, M. L., Korinek, J., ... & Lopez-Jimenez, F. (2008). Accuracy of body mass index in diagnosing obesity in the adult general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2(6), 959-966.
이 논문에서는 BMI가 일반 성인에서 비만 진단의 정확성에 관한 문제를 조사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BMI는 높은 비만도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낮은 비만도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BMI는 비만의 진단과 위험도 평가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Rothman, K. J. (2008). BMI-related errors in the measurement of obe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2(S3), S56-S59.
이 논문은 BMI 관련 측정 오류를 다루며, BMI가 연령, 성별, 체격 및 지방 분포와 같은 여러 요인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고 설명합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인구 집단에 대한 비만 위험 평가에 BMI만 사용하는 것은 부정확할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였습니다.
Okorodudu, D. O., Jumean, M. F., Montori, V. M., Romero-Corral, A., Somers, V. K., Erwin, P. J., & Lopez-Jimenez, F. (2010). Diagnostic performance of body mass index to detect obesity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European heart journal, 31(18), 2214-2220.
이 논문에서는 심장질환 환자에서 BMI가 비만을 감지하는 진단적 성능을 평가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BMI가 심장질환 환자의 신체 지방량과 체성분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며, 심장질환에 관한 위험도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었다는 결론을 내립니다. 위 논문들은 BMI의 한계와 비만 진단 및 건강 위험 평가와 관련된 방법론적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지표와 방법을 종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참고 문헌

Flegal, K. M., Kit, B. K., Orpana, H., & Graubard, B. I. (2013). Association of all-cause mortality with overweight and obesity using standard body mass index catego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309(1), 71-82.

Ng, M., Fleming, T., Robinson, M., Thomson, B., Graetz, N., Margono, C., ... & Gakidou, E. (2014).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children and adults during 198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The lancet, 384(9945), 766-78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