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ysical Threrapy story/물리치료사

물리치료치료방법들 II - 근골격계치료 (제가 알고 있는 한도내에서)

by 해라프 2010. 7. 2.
반응형

근골격계치료 

 

1. OMT(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 

학회에서는 임상에서 물리치료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Manual Dx.와 Tx.의 도수기법을 국내에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 Basic OMT Course(신체부위별 정형도수치료 기초과정)와 intermediate OMT course 질환별 정형도수치료 중급과정), Advanced OMT course(전문기법별 정형도수치료 심화과정)를 개설하고 있으며, 선진외국의 최첨단 manual medicine 저명 강사진을 국내에 초빙하여 매년 국제세미나를 유치할 뿐만 아니라, WCPT와 IFOMT(1998.10)에 정식으로 가입되어 있는 등록된 학회입니다. 

출처 :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 

 

2. OMT(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 

교육과정 : 1. 기본과정(4) : 하지,상지, 하부척추, 상부척추/ 2. 심화과정(2) : 상부, 하부 / 3. Supervision (2) : 1, 2차 / 4. 중간시험(MT) : 이론, 실기(Partner)
/ 5. manipulation(2) : 하부, 상부 / 6. supervision (2) : 3, 4차 / 7.보충(Stady등등...) / 8. OMT 시험 : 이론, 실기(환자) 

출처 : 대한 OMT Kaltenborn-Evjenth 학회 

 

3. MTT (medical training therapy) 

 *MTT의 기초 

역사, 경제학적인 관점, 생리학적인 기초, Biomechanic, Sensomotoric System의 기초,  능력생리학, 응용트레이닝학과 움직임학, 트레이닝 방법학  

*분석법 

동력학과 운동학 검진법, 데이터의 기록과 데이터 평가 교육학적, 지도학적, 심리학적인 견해, 커뮤니케이션 

 *사지와 척추

 MTT 해부학, 병리학, 의학적인 검진, Biomechanic, 적응증과 금기증, 소견서 작성, 

가능한 치료들, 사지와 척추에서 나타나는 질환 중 선택하여 이를 위한 세밀한 트레이닝의 설정  

 *마지막 단계 

목적의 설정, 치료계획, 트레이닝 과학 및 치료적인 수업내용의 변환, 치료적인 팀웍, 

기능부전의 사지관절과 척추의 치료적인 견해의 심화. 

복습과 Discussion, 구별화된 치료적 견해와 적용이 가능한 것들의 제시. 

재활영역 내에서 적합한 치료목적이 테마로 주어진 다음 이를 위한 교육생의 실질적인 

단계별 트레이닝의 계획과 실행 및 Demonstration. 

법과 경제학적인 관점. 

 *MTT 국제시험 

 *Sports Physical Therapy 

스포츠 손상의 따른 해부학, 병리학, 치료로 taping하는 방법 등등 

 교육과정 : 

*MTT I 코스    = 소개강좌          : 5 시간 

*MTT II 코스   = 하지와 요추       :  4일(40시간) 

*MTT III 코스  = 상지와 경흉추     :  4일(40시간) 

 *MTT IV 코스  = 질환별 프로그램  :  4일(40시간) 

*Sports Physical Therapy         :  2일(16시간) 

출처 : 대한 OMT Kaltenborn-Evjenth 학회 

 

4.  OSPT(비만체형 물리치료사) 

환자 개개인의 체형에 따라 수기 치료, 전기/초음파 비만 치료, 맞춤 운동 치료, 식이요법, 행동수정
요법과 환자 상담을 통해 비만을 전문적으로 치료 관리하는 물리치료사를 비만체형 물리치료사
(Obesity Somatotype Speciality Physical Therapist. 이하 OSPT)라 한다. 

출처 : OSPT아카데미 

 

5. GMI( 근관절도수 물리치료학회). MPS 

GMI(General Mechanical Interaction)는 전신의 근육과 관절의 역학적(Mechanical) 상호 작용(Interaction)을 응용하여 통증과 체형을 치료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출처 : 이복동 선생<GMI Academy)  

 

6. Sling Ex 

슬링운동은 노르웨이에서 개발되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이미 선진국에서는 집에서도 손쉽게 가능한 운동으로 보편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슬링은 사전에 환자의 몸 상태를 과학적으로 체크해서 개인별로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환자의 치료효과는 물론 재활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를 통한 운동의 방법은 990여가지이상이 있습니다. 

출처 : 레드밸런스 

 

7. 정골의학(Osteopathy) 

CST (Cranial Osteopathy)은 100년전 정골의사인 Dr. W.G.Sutherland에 의해 창시된 두 개천골개념은 일차호흡기전의 원리를 바탕으로 전 인체의 기본적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개념으로 발전되어 왔고 국소적으로 두개천골영역(Craniosacral field)의 해부학, 생리, 병리적 관점은 임상의 물리치료사들이 다루고 있는 두통, 측두하악관절장애, 각종 뇌신경질환 및 기능이상, 안와부, 비강부의 질환과 기능이상, 천장관절의 기능이상 등에 대한 해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전신적 개념으로 신경계, 순환기계, 근골격계, 내장기계, 내분비계, 면역기계등에 걸친 상호작용과 연관성을 이해할 수 있는 접근법이라고 생각합니다 

VM (Visceral Manipulation)은 각 내장기의 해부생리학적 지식을 토대로 내장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관절,근막 등)들의 평가와 내장기 자체의 고유한 리듬을 촉진하는 평가를 통해서 내장기 문제들과 관련 되어지는 구조적 그리고 리듬적 측면모두를 고려하는 접근법이며 내장기 자체의 질환과 기능이상뿐만 아니라 내장기와 관련되어지는 근골격계, 면역계, 순환기계, 내분비계등의 상호관계를 이해하는 것으로 임상에서 마주치는 여러 질환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생각과 방법을 가지고자 합니다 

 LAS(Ligamentous Articular Strain) technique은 Osteopathy(정골의학)의 창시자인 닥터 스틸과 그의 제자인 두개천골치료의 창시자 닥터 서들랜드의 Indirect 개념이 잘 반영된 접근법으로 간접관절교정기법과 근막이완기법을 통해 외부에서 많은 힘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체내의 자가교정,치유 능력을 이용하고 향상시키는 것으로 치료사와 환자 모두에게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출처: Korean Academy Of Oste.. N아이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