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Threrapy story/물리치료 상식-근골격계편

관절의 움직임(구름-roll, 미끄러짐-slide, 축돌림-spin)

해라프 2010. 7. 6. 14:32
반응형

 관절의 움직임은 단순히 구부리고 펴는 것이 아니라 관절 자체에서 구름 미끄러짐 축돌림과 같은 움직임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관절와상완관절에서 외전을 하는 동안 상완골두는 아래로 미끄러지고 위로 구름이 일어난다.
 이런 움직임이 나오지 않으면 극상근건이 경본하점액낭과 마찰이 생겨 염증을 유발시키므로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질환을 극상근건염이라고 하며 이 것이 심해지면 극상근이 파열이 되어 수술까지 고려해야 한다.





 이 움직임을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자신의 손으로 움직여보면 잘 알수 있단. 한쪽 손은 주먹을 한쪽손은 숟가락 모양으로 오므린상태에서 주먹쥔손을 직각으로 움직여 보면 반대쪽손의 오목한 부분이 공간이 많이 생기게 된다. 이 공간을 채우려면 직각으로 움직인 반대쪽으로 미끄러져야 한다.
하지만 주먹쥔손을 고정시키고 오므린 손을 움직인다면 같은 방향으로 미끄러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관절의 가장 기초적인 오목(오므린손) 볼록(주먹쥔손) 법칙이다.
축돌림은 척추의 움직임처럼 일정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참고로 오므린손 주먹쥔손을 제가 생각해낸것입니다. 하도 헷갈려서!!
반응형